2024 청년도약계좌, 아직도 가입안했어?

2024년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재정적 안정을 돕기 위한 특별한 금융 상품입니다. 높은 이율과 비과세 혜택, 유연한 저축 조건을 갖춘 이 계좌는 많은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병역 기간이 소득 계산에서 제외되어 병역 이행 중인 청년들도 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제 청년도약계좌의 주요 특징과 혜택, 가입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2024 청년도약계좌란?

청년 도약 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들을 위한 특별한 예적금 상품입니다. 가입 조건은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 가구 소득 중위 250% 이하로 설정되어 있어 많은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병역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소득 계산에서 제외되므로 병역 이행 중인 청년들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2. 청년도약계좌를 가입해야하는 이유 (장점)

2.1 높은 이율과 혜택

청년 도약 계좌의 가장 큰 매력은 높은 이율입니다. 3년 가입 시 최대 6.9%, 5년 가입 시 최대 8.9%의 이율을 제공합니다. 이는 대부분의 투자 상품보다 높은 수익률을 자랑합니다. 또한, 이 계좌는 이자 소득세 15.4%가 면제되므로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2.2 유연한 중도 해지 조건

많은 청년들이 5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돈을 묶어두는 것에 대해 걱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청년 도약 계좌는 특별 중도 해지 조건을 충족하면 언제든지 해지할 수 있으며, 그동안 받은 정부 지원금과 비과세 혜택도 그대로 유지됩니다. 특별 중도 해지 조건에는 결혼, 출산, 퇴사, 해외 이주 등이 포함되어 있어 예상치 못한 큰 변화가 생겼을 때도 안심할 수 있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특별 중도 해지 조건 >
1. 가입자의 사망 및 해외이주
2. 가입자의 퇴직
3. 사업장의 폐업 (사업자)
4. 천재지변
5. 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6. 생애최초 주택구입
7. 결혼 (24년 추가)
8. 출산 (24년 추가)

또한 3년만 유지하면 중도 해지 이율이 4.5%로 상향 조정되므로, 투자로 전환하고 싶은 경우에도 유리한 조건을 제공합니다. 이로 인해 많은 청년들이 부담 없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 이율 개선 >
은행
기존
조정
국민
신한
농협
우리
기업
하나
1.0~2.44.5%
대구
부산
경남
1.0~2.44.0%
전북
광주
1.0~2.43.8%

 

2.3 자유로운 저축 금액

청년 도약 계좌는 월 70만 원을 모두 저축하지 않아도 됩니다. 최소 1천원부터 시작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저축 금액을 최대 월 70만원 까지 조절할 수 있는 자유 정립식입니다. 따라서 돈이 부족할 때는 적게, 여유가 있을 때는 많이 저축할 수 있어 부담이 적습니다.

 

2.4 투자와 자산포트폴리오

이미 투자를 잘하고 계신 분들은 예적금에 큰 관심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자산 포트폴리오는 분산이 중요합니다. 투자 시장은 언제나 변동성이 있으며, 모든 자산이 한꺼번에 하락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예적금은 원금 손실이 없기 때문에 안정적인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청년 도약 계좌와 같은 예적금을 포트폴리오에 포함시켜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지금까지 예적금 가입을 망설였다면, 이번 기회에 청년 도약 계좌를 고려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3. 가입조건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청년들을 위한 특별한 예적금 상품으로, 다음과 같은 가입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3.1 연령조건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 기간은 최대 6년까지 계산에서 제외되므로 더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3.2 개인소득조건

연 소득이 7,500만 원 이하인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청년들에게 적용되는 소득 범위로,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3.3 가구소득조건

가구 소득이 중위 소득 기준 250% 이하인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 이 기준은 많은 가구가 충족할 수 있는 수준으로 설정되어 있어 가구 소득이 높은 편인 경우에도 비교적 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육아휴직 급여, 군 복무 중 급여 등도 개인 소득으로 인정되므로, 육아휴직 중이거나 군 복무 중인 청년들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가구원수
기준 중위소득 250%(2024년)
1인5,571.113원
2인9,206,523원
3인11,786,643원
4인14,324,783원
5인16,739,338원
6인19,045,923원

 

4. 청년도약계좌 주요 혜택

4.1 높은 이율

3년 가입 시 최대 6.9%, 5년 가입 시 최대 8.9%의 이율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예적금 상품보다 높은 수익률을 자랑합니다.

출처 : 금융위원회

 

4.2 소득에 따른 혜택

이율과 혜택은 개인 소득에 따라 달라집니다. 연 소득 7,500만 원 이하의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으며,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 소득 6,000만 원에서 7,500만 원 사이인 경우 정부 기여금은 없지만, 여전히 높은 이율의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4.3 비과세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이자 소득세 15.4%가 면제됩니다. 일반 예적금 상품은 이자에 대해 세금을 부과하지만, 이 계좌는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여 더 많은 이자 수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4.4 정부 기여금

소득 구간에 따라 월 저축액에 대해 정부에서 추가 기여금을 지원합니다. 소득이 낮을수록 더 많은 기여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정부 기여금 지급 예시

  •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 : 이 구간에 속하는 청년들은 월 최대 40만 원까지 저축 시 정부에서 추가로 6%의 기여금을 지원받습니다. 예를 들어, 매월 4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2만 4천 원을 추가로 지원해줍니다.
  • 연 소득 2,400만 원에서 4,800만 원 사이 : 이 구간에 속하는 청년들은 월 최대 70만 원까지 저축 시 정부에서 3%의 기여금을 받습니다. 즉, 매월 70만 원을 저축하면 정부에서 2만 1천 원을 추가로 지원해줍니다.
< 정부기여금 지급구조 >
개인소득
본인 납입한도
기여금 지급한도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月
2,400만원↓70만원40만원6.0%2.4만원
3,600만원↓50만원4.6%2.3만원
4,800만원↓60만원3.7%2.2만원
6,000만원↓70만원3.0%2.1만원
7,500만원↓

 

5. 간단 가입 방법 및 신청기간

가입 방법도 매우 간단합니다. 자주 사용하는 은행의 모바일 앱에서 비대면으로 가입할 수 있으며, 검색창에 ‘청년 도약 계좌’라고 검색하면 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절차 없이 간편하게 가입할 수 있어 많은 청년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신청 기간 및 계좌 개설 일정은 월별로 별도로 정해져 있습니다. 정확한 기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청년도약계좌 공식 홈페이지를 꼭 방문해 보시기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공식 홈페이지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