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 카드깡 수수료는 어느정도 일까?

식당 카드깡 수수료는 어느 정도인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지금 즉시 돈이 필요하여 대출도 불가한 상황에서 신용카드를 이용해서 카드깡이 필요한데 식당은 어떨까 하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식당 카드깡은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고 수수료는 어떻게 산정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카드깡이란?

신용카드를 이용해서 물건을 팔거나, 음식을 파는 등의 매장에서 거짓으로 매출을 발생시켜 수수료를 제외한 현금을 받는 방식의 불법대출을 말합니다. 이는 당장 현금이 필요한데 대출이 안되거나, 회사나 공공기관의 법인카드에 들어있는 금액을 부정으로 수령하는 방식으로 많이들 사용합니다.

 

2. 식당에서 카드깡을 하는 이유

그렇다면 식당에서 카드깡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접근성입니다. 주로 회사나 공공기관의 경우에는 법인카드로 식당에서 결재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자주 가는 단골 식당을 이용해서 카드깡을 한 다음 공금횡령을 하는 겁니다. 또한 상대적으로 고액의 비용 금액이 사용되는 유흥주점, 단란주점, 안마시술소 같은 불법 유흥업소에서도 카드깡이 많이 일어납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유흥주점이나 단란주점 같은 유흥업소는 법인카드가 사용이 불가한데 어떻게하는 걸까요?

 

3. 카드깡 식당은 일반적인 식당이 아닐수 있다.

일반 음식점 같은 식당은 카드수수료가 2.5% 수준으로 매우 낮기 때문에 카드깡에 아주 유리합니다. 카드깡을 하는 주된 업체는 일반적인 식당인 경우도 있지만 주로 유흥주점, 단란주점, 안마시술소 같은 불법 유흥업소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유흥주점 같은 경우는 법인카드 사용이 제한되나 여러 대의 카드단말기를 활용 위장가맹점으로 등록하여 신용카드 결제를 받고 있으며 세금이 세금이 적은 업종으로 선택하여 합법적으로 세금을 내면서 합법을 가장하여 카드깡을 하고 있습니다.

 

4. 식당 카드깡 수수료는?

일반음식점 같은 식당의 경우 사업자등록을 하는데 카드수수료는 2.5% 수준입니다. 상대적으로 수수료가 낮은 일반음식점이나 일반음식점으로 가장한 위장가맹점은 카드깡으로 건당 15~20%의 수수료를 받고 카드깡을 하며, 결제금액은 2~3일 뒤 카드사로부터 입금을 받습니다.

신용카드 수수료 조회

그러나 식당의 주인이 카드깡이 불법인 것을 활용하여 갑자기 수수료를 30%로 올린다던가 아니면 나중에 현금으로 입금해주겠다고하며 돈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5. 식당 카드깡 불법인가?

네 당연히 불법입니다. 이는 명백한 여신금융법위반으로 보통 업주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고, 카드깡을 이용한 이용자의 경우 금융질서 문란자로 등재되어 5년 간 금융거래상의 불이익을 받게 되어 대출이나 신용카드 발급에 제한이 생길 수 있습니다. 

카드깡 걸리면 처벌수위
여신전문금융업법 제70조(벌칙)
③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통하여 자금을 융통하여 준 자 또는 이를 중개·알선한 자
가. 물품의 판매 또는 용역의 제공 등을 가장하거나 실제 매출금액을 넘겨 신용카드로 거래하거나 이를 대행하게 하는 행위
나. 신용카드회원으로 하여금 신용카드로 구매하도록 한 물품·용역 등을 할인하여 매입하는 행위
다. 제15조를 위반하여 신용카드에 질권을 설정하는 행위

또한 카드깡 업주가 카드깡 단속에 걸리게 되어 먹튀를 하게 되면 카드깡을 신청했던 사람은 현금 한 푼도 받지 못하고 피해만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카드깡 먹튀를 당하게 되면 경찰서 신고와 카드 정지부터 하셔야 하며 청구될 카드값을 납부하셔야 나중에 신용도하락이라는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불법적인 행위는 안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당장 돈이 필요하다면 신용대출을 추천드립니다. 특히 급하게 돈이 필요한 경우에 가장 빠르게 5분 안에 대출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바로 비상금 대출입니다. 이는 비상금 대출의 가장 큰 장점으로 모바일 핸드폰만 가지고 있다면 언제든 가능한 대출입니다.

비상금 대출 추천 BEST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