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연체율 급등!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직접 확인하세요.

최근 연체율 10%가 넘는 ‘위험’ 새마을금고가 1년반새 100개소나 늘었다고 합니다. 새마을금고에 예금, 적금을 넣으신 분들께서는 많이 불안해 하실 겁니다.

이 글에서는 새마을금고 부실지점을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확인

1. 새마을금고 예금자 보호

일반 소비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이 예금을 예치한 금융 기관이 어떻게 예금자를 보호하는지에 대한 문제입니다. 새마을금고는 은행과는 다른 유형의 금융 기관으로, 따라서 일반 은행과는 다른 예금자 보호 규정이 적용됩니다. 이로 인해 새마을금고에 예금을 보관하는 것이 위험해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새마을금고는 별도의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예금자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이 법은 2001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며, 원금과 이자를 합산한 금액을 1인당 최대 5천만원까지 법적으로 보장합니다. 다만, 이 예금자 보호 규정에는 예외가 있습니다. 출자금 통장은 해당 새마을금고에 조합원으로 투자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출자금 통장에 있는 금액은 해당 새마을금고가 파산할 경우 새마을금고법에 따른 예금자 보호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2.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확인 지표

1) 경영실태평가

가장 먼저 봐야하는 경영실태 평가입니다. 종합등급은 1~ 5등급까지 있으며, 1등급에 가까울 수록 양호합니다. 보통 1~2등급이면 안심, 3등급 이하는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합니다. 최근 기사내용

2) BIS(자기자본비율)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 비율을 뜻하며, 8% 이상이면 안전 합니다.

BIS(자기자본비율)등급평가
11% 이상1등급우수
9% 이상2등급양호
6% 이상3등급보통
3% 이상4등급취약

3) 순고정이하여신비율

회수하지 못한 대출금 비율을 뜻하며, 0에 가까울수록 안전하고 8%에 가까울 수록 부실 판단합니다.

순고정이하 여신비율등급평가
3% 이하1등급우수
5% 이하2등급양호
7% 이하3등급보통
9% 이하4등급취약

4) 유동성 비율

현금화가 바로 가능한 비율을 뜻하며, 100%이상이면 안전하다고 판단합니다. 80% 이하 위험 합니다.

5) 대출채권 현황

가계자금대출이 기업자금대출보다 낮거나 비슷하면 안전하다고 판단합니다.

6) 항목 정리

해당되는 5가지 항목을 총정리 해봤습니다.

구분양호등급
경영실태평가1~2등급
BIS(자기자본비율) 8% 이상이면 안전
순고정이하여신비율0에 가까울수록 안전
유동성 비율100%이상
대출채권 현황가계자금대출이 기업자금대출보다 낮거나 비슷

 

2.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확인방법

새마을금고는 금고마다 매년 6월, 12월 말을 기준으로 공시자료를 게시합니다. 지금은 마침 9월 초이기 때문에 2023년 6월 기준 자료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1) 새마을금고 홈페이지 접속

https://www.kfcc.co.kr 새마을 금고 홈페이지로 접속합니다.

2) 사업안내▶전자공시▶정기공시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확인1

3) 확인하고자하는 금고명 검색

4) 지표확인

대출채권 현황▶20번

BIS (자기자본비율)▶25번
순고정이하여신비율▶26번
유동성 비율▶27번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확인5

경영실태 평가▶31번

 

3. 마무리하며

새마을금고의 사태는 아직도 끝나지 않은거 같습니다. 분명 은행은 미국처럼 고금리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경영상 어려움을 겪고 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대한민국이나 미국이나 당분간 고금리의 스탠스를 취할 것이 분명한 만큼 은행리스크는 주의 하셔야 합니다. 모두들 해당 사태를 주시하시고, 자산을 잘 지키시길 바랍니다.

새마을금고 부실지점 확인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