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신용점수는 어디쯤에 있고, 상위 몇 %에 있는지 고민해본 분들이 있을 것입니다. 그만큼 신용점수는 현대사회에서 많은 금융거래를 하는데 정말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나의 신용점수가 상위 몇 프로인지, 우량 신용자는 어느 정도 신용점수를 유지해야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신용점수 기준
2021년 1월부터 등급제였던 신용점수가 1,000점 만점의 점수제로 변경되었습니다. 이유는 신용점수 등급간 이동이 어렵고, 1~2점 차이로 등급이 나뉘게 되면 신용거래 불이익이 생기기 때문이었습니다. 등급제가 아니라 점수제 바뀐 후에는 나의 점수가 상위 몇 프로인지 궁금해 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2. 나의 신용점수는 상위 몇 프로 ?
가. 신용점수별 인원분포
신용점수별 인원분포를 보시면 내 점수의 위치가 대체적으로 어떻게 되는지 알 수 있습니다. 다만 매년 평균점수는 올라가기 때문에 평균이상의 달성을 위해서는 매년 신용점수를 올리기 위해서 꾸준히 노력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1) KCB
KCB기준 신용점수 850점 이상이 상위 약 50% 수준으로 평균으로 볼 수 있습니다.
점수분포 | 점유율 | 비 고 |
950 ~ 1,000 | 24% | 상위 약 50% |
900 ~ 949 | 18% | |
850 ~ 899 | 9% | |
800 ~ 849 | 6% | 하위 약 50% |
750 ~ 799 | 11% | |
700 ~ 749 | 16% | |
600 ~ 699 | 10% | |
300 ~ 600 | 2% | |
0 ~ 299 | 4% |
2) NICE
다음은 NICE의 기준입니다. KCB보다 점수의 기준이 높습니다. 900점 이상이 전체중 거의 45%를 차지 합니다. 평균이상이 되려면 850점 이상이 되어야 안전하게 만족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점수분포 | 점유율 | 상/하위 |
900 ~ 1,000 | 44.9% | 상위 44.9% |
800 ~ 899 | 23.7% | 하위 약 55.1% |
700 ~ 799 | 25.4% | |
600 ~ 699 | 1.5% | |
500 ~ 599 | 0.3% | |
400 ~ 499 | 0.1% | |
300 ~ 499 | 3.6% | |
200 ~ 299 | 0.3% | |
0 ~ 199 | 0.01% |
나. 신용점수 조회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등 스마트폰 금융 어플을 통해서 신용점수를 조회 및 점수분포 조회가 가능합니다. 신용점수를 조회하게 되면 내 점수가 상위 %, 하위 % 인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 카카오뱅크 : 메인화면 우측 밑 점세개 ▶ MY ▶ 내 신용정보 ▶ 신용점수 확인
– 카카오페이 : 메인화면 신용관리 ▶ 신용점수 확인
3. 우량신용자의 기준
그렇다면 우량신용자의 기준은 어떻게 될까요? 우량 신용자의 신용점수 기준은 850점 이상이라고 합니다. 해당 점수를 달성하시면 1금융권에서 대출이나 신용혜택을 문제없이 받으실 수 있습니다. 850점이면 위의 분포도의 평균값 정도의 수준입니다. 즉, 신용점수 850점 이상은 무조건 달성해야만 하는 수준인 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신용점수는 꾸준히 유지해야한다.
나이와 성별에 무관하게 신용점수는 현대 금융권 거래를 위해서 꾸준히 유지되어야 합니다. 위 글을 통하여 신용점수를 이해하고 관리하는데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건강한 신용생활에 도움이 되길 기원합니다.